급여
급여는 국내기업에 비해 일반적으로 초임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국내 대기업, 금융권, 공기업보다는 낮을 수 있다. .회사의 규모, 업종,
직무에 따라 급여체계는 큰 편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커리어 및 업종을 선택할 때 관련된 부분은 감안하는 것이 좋다.
복리후생
외국계기업의 급여가 대체로 후한 편이라고 하는데, 이유중의 하나는 주택대출, 자녀학자금 등 이른바 복리후생비를 따로 운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조사업장을 가지고 국내에 진출해 있는 기업이나 근무인원이 몇백명을 넘는 경우에는 한국적인 복지제도를 실시하는 곳이 많다. 이들은 본사에는 없는 자녀교육비 지급이라든지, 주택마련 대출보조, 직원식당 운영, 정년퇴직제도 등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복리후생은 전체적으로 볼 때 국내의 대기업 수준에는 못미치는 편이며, 앞으로도 크게 좋아질 것 같지는 않다. 한국적인 복지는 글로벌한 기준에서는 사례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내교육
대부분의 외국계기업들이 사내교육, 직무교육 등을 하지 않고 있으므로, 필요한 교육을 찾아서 듣고 자기개발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이유로 신입사원의 채용을 하기 어렵고 직무 교육이 필요가 없는 경력직 중심의 채용이 이루어진다.